루나(Runa) 김흥숙 작가 갤러리 '누에고치 위의 회화(경계를 넘나드는)' 도록 표지


루나(Runa) 김흥숙 작가가 5월 14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갤러리 이즈 1층에서 개인전 '누에고치 위의 회화(경계를 넘나드는)'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지난해 수원시립미술관에서 호평받았던 작품들을 재구성한 것으로, 시각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김흥숙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누에고치라는 독특한 소재를 회화의 매체로 활용해 평면 회화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갤러리 이즈에서 만날 수 있는 작품들은 캔버스에 2cm 가량 돌출된 형태로, 단순한 부조적 표현이 아닌 애벌레가 살았던 공간 즉, 시간성과 존재의 흔적을 담아내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김흥숙 작가는 "누에고치는 단순한 물질이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생명의 흔적입니다"라며, "기존의 회화가 평면 위에서 색과 형태를 감각적으로 구현했다면, 누에고치는 유기적 물질을 통해 존재의 흔적을 드러내고 있어요"라고 작품에 대해 설명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전공.석사)을 졸업한 김흥숙 작가는 ‘새들과의 대화, 산의 울림’, ‘경계를 넘나드는 공간’ 등의 주제로 지금까지 20여 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300여 회의 단체전과 100여 회의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특히 최근에는 단색조 추상회화에 누에고치라는 새로운 소재를 통해 회화의 경계를 확장하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회화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하고 창의력 있는 작업으로 현대미술의 열린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미술평론가는 작가의 작품 세계에 대해 "김흥숙 그림의 화두는 '경계'다. 그는 늘 경계에 관해 사색하며 자신의 작업에서 이를 구현하고자 한다"라며, "그의 그림이란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라고 평했다. 또한 "이번 작품은 누에고치를 회화적 매체로 변환한 최초의 실험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잭슨 폴록의 액션페인팅이 ‘그림’의 개념을 ‘흘 뿌리다’로 회화의 개념을 확장했다면, 김흥숙 작가는 고치를 이용한 공간성을 확보하여 '입체적 회화' 그 위에 색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누에고치 위의 색채는 단순한 질감이 아니라 애벌레가 나비가 되고자 하는 희망의 시간성, 존재성을 내포한 유기적 구조로서 회화의 물질적 한계를 확장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이번 전시는 단색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생명의 흔적과 시간성을 담아내는 새로운 시도로,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주목할 만한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람객들은 경계를 넘나드는 회화를 통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존재와 부재, 영혼과 육체 등 다양한 개념을 경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