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안읍성 전경


순천학연구소가 순천의 대표적 역사 유산인 낙안읍성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특히 그동안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인물, 낙안읍성 김빈길 장군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주목받고 있다.

낙안읍성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위치한 조선시대 읍성으로, 아름다운 돌담과 전통 한옥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이들이 낙안읍성 하면 병자호란 때 활약한 임경업 장군을 먼저 떠올린다.

그는 낙안읍성을 석성으로 개축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낙안읍성을 최초로 축성한 이는 바로 이곳 낙안 출신의 김빈길 장군이다. 안타깝게도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

김빈길 장군은 명문가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무관의 말단으로 입대해 실력과 용맹함으로 장군에까지 오른 입지전(立志傳)적인 인물이다.

특히 조선의 개국 공신 이성계와의 운명적인 만남 이후, 그 이름을 전국적으로 알리게 되었다. 그의 전투 능력은 뛰어났으며, 당시 왜구들 사이에서는 ‘김빈길’의 이름만 들어도 두려움에 떨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장군은 말년에 고향 낙안에서 은거하며 평온한 삶을 살고 있었으나, 자신을 노리고 쳐들어올 왜구들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걱정 끝에 전라북도 고창으로 가족과 함께 자진 이주하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선택은 오히려 '왜구를 피해 도망쳤다'는 오해를 낳게 되었으나, 진실은 정반대였다. 김빈길 장군은 낙안 백성들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고향을 등진 것이었으며, 결국 고창까지 침입한 왜구와의 전투 끝에 장렬히 순절했다.

노구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무기를 들었던 그의 모습은 지금까지도 지역민의 가슴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현재 낙안읍성에는 김빈길 장군의 동상이 세워져 고향을 굽어보고 있으며, 그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충절은 매년 창극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되살아나고 있다. 이 행사는 낙안읍성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단순한 관광을 넘어, 역사적 감동과 울림을 전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