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남부학술림-광양시의 무분별한 난개발, ‘몸살 앓는 백운산’

광양시백운산국립공원지정추진준비위원회, “서울대남부학술림, 산림청, 광양시는 시민 앞에 사죄하라”

김영만 기자 승인 2021.03.03 16:00 의견 0

서울대남부학술림과 산림청, 광양시의 무분별한 백운산 난개발로 인해 백운산이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지역민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

광양시백운산국립공원지정추진준비위원회가 3일, 백운산의 산림훼손 현장에서 광양백운산 ‘난개발 이제 그만!’이라는 주제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최근 백운산 형제봉 국유임도 개설과 백운암 작업임도 공사에 따른 산림 및 경관 훼손에 대한 시민들의 문제 제기와 언론보도가 이어졌다.

이와 관련해 ‘백운산국립공원 지정 추진 준비위원회(이하 백운산국립공원준비위)’가 3일, 현장을 살펴본 후 산림 훼손상황에 대해 개탄하며 입장을 밝혔다.

백운산국립공원준비위는 백운산 임도를 비롯한 난개발이 무분별하게 이뤄진 것을 규탄하며 “ △ 백운사 임도와 형제봉 임도 개설로 백운산 허리를 동강낸 서울대남부학술림, 산림청, 광양시는 시민 앞에 사죄할 것 △흉물스럽게 변한 개발 현장을 친환경적으로 복원하고 철저하게 관리할 것 △집중호우 시 임도에서 토사 유출이 예상되므로 방지대책과 생태계 회복을 위한 후속 조치를 강구할 것 △무분별한 백운산 개발사업을 중단하고, 필요시 사전에 민관 협의와, 조례제정 등을 통해 난개발 대비책을 강구할 것” 등을 요구했다.

서울대남부학술림이 관리하는 광양시 봉강면 조령리 뒷산은 지난 4년 간 6.14Km의 임도를 개설하고 있다.

또 2020년 형제봉 산허리를 동강낸 흙투성이 임도 3Km는 차도처럼 넓게 공사를 해 시내에서 보아도 참혹한 백운산의 모습은 쉽게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옥룡면 동곡리의 백운암을 오가는 곳도 작업임도 1.67Km를 개설하고 포장했을 뿐 아니라, 아래쪽 입구에는 농어촌도로 확포장 공사까지 진행하고 있다. 백운산이 5년 내내 토목공사로 파헤쳐지며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백운산국립공원준비위는 “2019년 백운산 한재를 넘는 도로를 개설하겠다는 문제로 지역사회에서 지루한 갈등을 경험한 바 있다. 당시의 한재 도로 개설은 국립공원 지정의 방해 요인으로 인식돼 계획을 취소했었다. 그 밖에도 옥룡사지 인근 동백림 조성과 임도를 개설하면서 대규모 벌목이 이뤄졌고, 백운산 주변 사유림에 태양광 발전 시설이 난개발 상태로 산림을 훼손시키고 있어 시민들은 개탄스럽기만 하다”고 성토했다.

백운산은 식물종이 950여 종에 이르고 있어 환경부로부터 ‘생태경관 보전지구’로 지정됐다.

동물도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개체 수가 늘어나는 추세로, 최근 확인된 곤충만도 3000여 종 이상이다. 곤충 생태계의 다양성은 백운산을 둘러싸고 있는 대륙풍과 남해안의 해풍 그리고 지리산과 섬진강이라는 독특한 생태환경의 건강성이 그 원인으로 보고됐다.

이 같은 백운산의 생태적 가치는 우리가 지키고 보호해야 할 소중한 자연유산이므로, 임도 개설 문제도 당연히 생태경관 보전지역이라는 정책을 따르고 지역사회와 사전 협의를 거쳐 추진돼야 한다는 것이 백운산국립공원준비위의 입장이다.

하지만 서울대남부학술림은 소유권 변경과 국립공원 지정 문제로 10년 동안 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임도 개설을 계획하고 추진했다.

이에 대해 백운산국립공원준비위는 “자연환경 파괴와 기후위기,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엄중한 시기에, 백운산 난개발로 산림 생태계를 훼손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졌다. 이제 더 이상의 무분별한 임도 개설과 난개발은 즉각 멈춰야 한다”고 주장하며 “백운산 생태경관은 우리 모두의 소중한 가치로서 보전돼야 하며, 국립공원으로 추진하는 시기에 난개발이 아닌 더욱 신중한 산림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10년 전, 광양시민 8만 3000여 명이 서명하며 땀과 눈물로 백운산을 국유림으로 지켜내고, 국립공원 지정으로 방향을 세웠다. 광양시는 ‘앞으로 서울대남부학술림이 환경단체와 지역민이 협의해 결정한 국유임도만 행정 지원할 계획’이라고 입장을 밝힌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고 밝히고 “앞으로 광양시는 백운산 국립공원 추진과 더불어 난개발 방지에 대해 시민들이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산림 보존 의지를 확실히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CNBC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